율곡 이이의 입지,혁구습,구용,구사를 접하고
율곡의 《격몽요결》에는 입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먼저, 입지의 뜻을 세운 다음에, 혁구습(革舊習)하고 구용(九容),구사(九思)할것을 얘기하고 있다.
사실 율곡 이이의 입지의 방법이나 혁구습, 구용, 구사 내용 중 어느하나 쉬운 것이 없다. 그렇지만, 인문고전이나 인문학을 통해 사색과 실천을 제대로 하고, 이를 확장해서 지혜의 영역을 넓히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AI 인공지능 미래시대를 선도하는 것이 그렇게 쉬울리는 없지 않을까 한다.
최소한 입지를 하고, 혁구습,구용,구사를 따를려고 노력을 하다보면 뇌 속의 지혜의 영역을 조금이라도 열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에이트 씽크》에 나오는 율곡 이이의 입지의 방법과 혁구습, 구용과 구사를 인용한다.
[ ] 입지의 방법
1. 이 세상에서 내가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내 마음임을 인정한다.
2. 나의 본성과 공자 같은 성인의 본성이 서로 다르지 않음을 인정한다.
3. 나는 성인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마음을 나도 성인이 될 수 있다는 마음으로 달리 먹는다.
4. 인문고전에 나오는 성인들의 말을 진실로 믿는다.
5. 현실에 안주하면서 적당히 살려고 하는 나 자신과 용감하게 투쟁하면서 성인들의 말을 실천하는 삶을 선택한다. p295
[ ] 혁구습
첫째, 마음과 뜻을 게을리하고, 몸가짐을 제멋대로 하며, 그저 편안하고 한가롭게 지내기만을 생각하고, 원칙과 법도에 맞게 사는 삶을 싫어하는 것이다.
둘째, 항상 돌아다니는 것만 생각하고, 스스로 마음을 지키려고 하지 않으며, 여기저기 어지러이 드나들고, 헛된 말만 하면서 세월을 보내는 것이다.
셋째, 세상 사람들과 같은 것을 좋아하고 다른 것은 싫어하며, 세상 풍속을 따라 하는 일에 열중하고, 조금이나마 자신을 고치려고 하다가도 남들이 이상하게 볼까 봐 두려워하는 것이다.
넷째, 말과 글로 세상 사람들에게 칭찬받기를 좋아하고, 경전에 있는 문장을 가져다가 겉보기에만 그럴싸한 글을 짓는 것이다.
다섯째, 별 내용도 없는 편지 쓰기에 공을 들이고, 술 마시기와 거문고 연주를 업으로 삼아 한가롭게 세월을 보내면서 스스로를 깨끗한 운치를 가진 사람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여섯째, 자신처럼 한가롭게 노는 사람들을 모아서 바둑이나 장기를 두면서 배불리 먹고 마시는 것으로 하루를 보내면서 남과 다투고 싸우기를 일삼는 것이다.
일곱째, 돈이 많고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을 부러워하고, 가난하고 천한 것을 싫어하며, 저렴한 옷을 입고 값이 싼 음식을 먹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이다.
여덟째, 좋아하고 즐기려는 욕망을 절제하지 못해 이를 마음속에서 끊어 없애지 못하고, 재물과 이익과 음악과 여색에 깊이 빠진 나머지 이를 달콤하게 여기는 것이다. p296
[ ] 구용
첫째, 족용중足容重, 두 발에는 무거움이 있어야 한다.
둘째, 수용공手容恭, 두 손에는 공손함이 있어야 한다.
셋째, 목용단目容端, 두 눈에는 단정함이 있어야 한다.
넷째, 구용지口容止, 입에는 고요함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성용정聲容靜, 목소리에는 맑음이 있어야 한다.
여섯째, 두용직頭容直, 머리에는 곧음이 있어야 한다.
일곱째, 기용숙氣容肅, 기운에는 엄숙함이 있어야 한다.
여덟째, 입용덕立容德, 서 있는 자세에는 덕이 있어야 한다.
아홉째, 색용장色容莊, 얼굴에는 밝음과 씩씩함이 있어야 한다. p298
[ ] 구사
첫째, 시사명視思明, 볼 때는 밝음을 생각하라.
둘째, 청사총聽思聰, 들을 때는 총명함을 생각하라.
셋째, 색사온色思溫, 낯빛은 온화함을 생각하라
넷째, 모사공貌思恭, 몸가짐은 공손함을 생각하라
다섯째, 언사충言思忠, 말할 때는 충실함을 생각하라
여섯째, 사사경事思敬, 일을 할 때는 공경함을 생각하라
일곱째, 의사문疑思問, 의문이 생기면 질문을 생각하라
여덟째, 분사난忿思難, 화가 날 때는 환난을 생각하라
아홉째, 견득사의見得思義, 재물을 볼 때는 정의를 생각하라 p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