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독서와 건강 그리고 자유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김택현 교수 옮김) 본문

Book 리뷰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김택현 교수 옮김)

VodkaKim 2021. 10. 11. 23:03
반응형

우연찮게 인스타그램에 올려져 있는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의 서평을 읽었다. 반드시 한번은 읽어야 할 역사관련 고전 중의 고전이라고.

사실 올해 들어 서양 고전을 많이 읽게 된 것은 나 스스로 고전을 매개로 해서 과거의 역사를 통해 배움을 얻고, 인간에 대해 이해를 조금이나마 느껴보고자 함에서 였다.  또한 내가 살아가는 현실(조직)에 조금이라도 접목될 수 있기를 바라면서.

그러다 보니,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김택현 교수 옮김)를 읽게 되었다.

이 책은 거의 반세기 전 1961년 1월에서 3월까지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E.H.카가 강연한 내용을 책으로 펴낸 것이라고 한다.

역사가의 기능은 과거를 사랑하거나 과거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로서 과거를 지배하고 이해하는 데에 있다. p41

따라서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첫번째 대답은, 역사란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과정,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것이다. p46

역사가와 그의 사실 사이의 상호작용의 과정, 즉 내가 현재와 과거 사이의 대화라고 불렀던 그 과정은 추상적이고 고립적인 개인들 사이의 대화가 아니라 오늘의 사회와 어제의 사회 사이의 대화이다.

부르크하르트의 말을 빌리면, 역사란 '한 시대가 다른 시대 속에서 찾아내는 주목할 만한 것에 관한 기록'이다. 과거는 현재에 비추어질 때에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현재도 과거에 비추어질 때에만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인간이 과거의 사회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그리고 현재의 사회에 대한 인간의 지배력을 증대시키는 것, 이것이 역사의 이중적인 기능이다. p79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이 역사라는 무겁고 어려운 주제이기는 해도, 도움이 많이 될 듯 싶다. 특히, 역자 후기에서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를 깊이있고 쉽게 잘 분석을 해 놓아서 전체적으로 이해하기에는 어렵지 않은 것 같다.

살아가면서 그냥 고전에 파묻혀 지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