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와 건강 그리고 자유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본문
니콜로 마키아벨리(1469 ~ 1527)는 누구나 한번 쯤은 들어 보았을 것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안가리는 냉혈주의자'라고 잘못 알고 있지 않을까 싶다.
국어사전을 찾아 보면 이렇게 쓰여 있다.
마키아벨리즘 (Machiavellism)
국가의 유지, 발전을 위해서는 어떠한 수단이나 방법도 허용된다는 국가 지상주의적 정치사상. 이탈리아의 마키아벨리가 그의 저서 《군주론》에서 처음 주장하였다.
물론, 알려진 것과는 사뭇 다른 측면이 많지만 (사실 왜곡이라고 봐야 할 듯), 마키아벨리가 태어나고 활동했던 분열된 이탈리아의 시대 상황을 알면, 마키아벨리가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일면 알 수 있을 듯하다.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당시 이탈리아는 주변 열강, 즉 신성로마제국, 프랑스, 스페인 등에 둘러 쌓인 약소국이었다. 국가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여러 작은 도시들로 분열되어 있었다. 말 그대로 과거 로마제국의 영광은 온데 간데 없는 주변 국가의 눈치를 보고 지내야 하는 사분오열된 이탈리아였다.
이런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우리가 소위 아는 마키아벨리즘일 것이다.
《군주론》을 제대로 이해하기도 어렵지만, 그럼에도 차근차근 읽어 보면 그 당시 시대 상황에서 국가로서 생존키 위해서는 당연히 마키아벨리즘이 최선의 선택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군주론》을 읽다 보면 실상 마키아벨리즘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다. 군주 (로렌초 디 피에로 데 메디치, 소 로렌초)에게 헌정의 목적으로 쓰여졌는데, 내용에서 이탈리아 통일을 염원하는, 또 백성을 위하는 마키아벨리의 마음이 느껴진다.
플라톤과 더불어 서양사상사를 양분하고 있다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그의 또 다른 역저 《로마사 논고》와 함께 두고두고 봐야 할 작품이다.
'Book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 (1) | 2025.03.08 |
---|---|
한비자, 권력의 기술을 읽고 (1) | 2025.03.08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1) | 2025.03.06 |
괴벨스, 대중선동의 심리학 (1) | 2025.03.06 |
조지 오웰의 《동물 농장》 (1)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