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와 건강 그리고 자유
한비자, 권력의 기술을 읽고 본문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제가백가라는 사상집단 중에서, 춘추전국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고 중국 통일의 기초를 이룬 법가사상을 집대성한 한비자.
동양의 마키아벨리라는 그의 생각을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듯하다.
한비자(기원전 약 280∼233년)의 이름은 한비이고 전국 말기 한(韓) 출신으로 법가사상을 대표한다.
현재의 어지럽고 혼탁한 정치현실에서, 특히 법 위에 군림하고, 법을 잘못 이용하는 위정자들에게, 국민이 부여한 권력을 주인인 양, 마음대로 휘두르는 작금의 시대 상황에서 한비자의 법가사상은 2,000년이 지난 지금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 같다.
중국의 역대 황제와 권력자들이 겉으로 유가사상을 신봉하면서 속으로는 법가의 사상과 학설을 따랐다(내법외유) 고 한다. 물론 시대 상황이 절대군주가 통치하는 시대였다고는 하나, 법가의 현실주의적인 사상은 그 당시 국가를 통치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직위가 높은지 낮은지를 보아 그의 말을 듣고, 뭇사람들의 말을 두루 들어 대조해보지 않으며, 한 사람을 여론을 듣는 창구로 삼는다면 그건 망할 조짐이다. 《한비자》의 <망징>
한나라의 소후가 신불해에게 "법도를 집행하기가 참으로 어렵네"라고 했다. 신불해는 말했다. "법도를 집행한다는 것은 공을 드러내면 상을 주고 능력에 따라서 관직을 수여하는 것입니다. 지금 임금께서는 법도를 설립하시고서도 좌우의 청탁을 들어주고 계십니다. 법도를 집행하기가 어려운 까닭은 여기에 있습이다." 소후가 말했다. "내가 이제 법도를 어떻게 집행해야 하는지를 알았으니, 과인이 앞으로 어찌 청탁을 듣겠는가." 하루는 신불해가 자신의 사촌형을 벼슬자리에 올려달라고 청탁했다. 소후가 말했다. "그대에게 배운 것과 다르지 않은가. 내가 그대의 청탁을 들어주고 그대의 통치 원칙을 깨뜨려야 할까? 아니면 그대의 통치 원칙을 써서 그대의 청탁을 듣지 말아야 할까?" 신불해는 집으로 물러가 있으면서 처벌을 받기를 청했다. 《한비자》<외저설 좌상>
물론 그 당시 절대군주체제와 현재의 민주주의 시대와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지만, 그럼에도 한비자의 법가사상은 어지러운 국정운영 상황하에서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에 대한 많은 통찰을 제시해 주는 것 같다.
'Book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금 당나귀 (0) | 2025.03.09 |
---|---|
존 버니언의 《천로역정》 (1) | 2025.03.08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0) | 2025.03.07 |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1) | 2025.03.06 |
괴벨스, 대중선동의 심리학 (1) | 2025.03.06 |